알림
뒤로
알림 설정
뒤로
더보기
게시물 알림
내 글 반응
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.
공지사항
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.
Alarm
마이페이지
로그아웃
로그인이 필요합니다.
로그인
홈
프로젝트 소개
변화를만드는사람들 인터뷰
2021변화를만드는사람들
2020활동가인터뷰
2019활동가인터뷰
2018활동가인터뷰
2016공익활동가포럼인터뷰
2015누구와의만남
공지
닫기
로그인
회원가입
마이페이지
검색
검색
사이트 로고
홈
프로젝트 소개
변화를만드는사람들 인터뷰
2021변화를만드는사람들
2020활동가인터뷰
2019활동가인터뷰
2018활동가인터뷰
2016공익활동가포럼인터뷰
2015누구와의만남
공지
MENU
변화를 만드는 사람들
site search
홈
프로젝트 소개
변화를만드는사람들 인터뷰
공지
변화를 만드는 사람들 인터뷰
136
글쓰기
검색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지역의 고유함을 담는 활동가, 장재원
지역이 희망을 만들려면 이곳저곳에서 다양한 움직임이 필요합니다. 여러 작은 시도 중 하나가 잡지를 만드는 일이 아닐까 합니다. <월간옥이네>는 ‘오늘의 이곳을
0
0
이재은
2020-04-02
조회
1585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드러나지 않는 일을 하는 활동가, 임지민
올해 5월, ‘숨 멈춰야 해방되는 곳.. 기자가 뛰어든 요양원은 감옥이었다(한겨레, 20190513)' 기사에 한동안 마음이 무거웠다. 요양원에서 돌아가신 할머니
0
0
이재은
2020-04-02
조회
1790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이상을 쫓기보다는 내 속도에 맞게 살고싶은 사람, 박내현
무언가 좋은 것을 떠올렸다 해도 그것을 실행하는 데는 생각보다 큰 용기가 필요하다. 심지어 불행을 자초하는 일이기도 하다. 지난 세기 혁명가들의 불행한 삶을 수없이 목격한 우리는
0
0
장상미
2020-04-02
조회
1843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들썩이는 시장의 에너지, 낑깡
"농부님마다 계절이 보여요. 계절의 흐름에 따라서 다양함을 만날 수 있는 것, 그게 매력적이어서 계속 일하고 있는 것 같아요." 리틀 포레스트가 생각나는 시장에
0
0
이재은
2020-04-02
조회
1475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평범한 일상을 지키며 변화의 흐름을 만드는 사람, 박진옥
활동가는 언제 태어나는 걸까? 우리는 어느 시점에 한 사람을 활동가라고 부르게 되는걸까? 사회문제 해결이나 변화를 모색하는 모임에 참여할 때? 거리에서 피케팅을 하거나 모금을 할
0
0
장상미
2020-04-02
조회
1519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한 만큼 해 나가는 사람, 이민주
여름 휴가를 맞아 대통령이 [90년생이 온다]라는 책을 직원들에게 돌려 화제가 되었다. 책을 쓴 임홍택은 80년대에 태어났고, 그 책을 추천한 대통령은 50년대에 태어났다. 이른바
0
0
장상미
2020-04-02
조회
1778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호기심 많은 활동가, 이파람
이파람은 잎새와 바람을 합친 이름이다. 서른 살이 되던 해 자립을 꿈꾸며 스스로 이름을 지었다. 나는 손맛이 들어간 자그마한 장터에서 이파람을 만났다. 떡갈나무 잎으로 곱게 포장한
0
0
이재은
2020-04-02
조회
1686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일 벌이고 부추기는 사람, 지숲
'여우책방'을 알게 된 건 페이스북 친구인 지숲을 통해서였다. 처음엔 재미있는 걸 하나보다고 넘겼다. 한 해, 두 해 지켜보며 '여우책방에 가봐야겠다'
0
0
이재은
2020-04-02
조회
1546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불씨와 함께 살아가는 사람, 안프로
* 옥계에서 산불을 끄고 내려와 찍은 마스크 (사진: 안창영 페이스북) 식목일을 하루 앞둔 2019년 4월 4일 저녁, 강원도 고성에서 산불이 났다. 도로변 전신주에서 갑자기
0
0
장상미
2020-04-02
조회
1608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통영 바다를 닮은 활동가, 최광수
통영은 다도해 부근에 있는 조촐한 어항(漁港)이다. 부산과 여수 사이를 내왕하는 항로의 중간지점으로서 그 고장의 젊은이들은 '조선의 나폴리'라 한다. 그러니만큼 바
0
0
이재은
2020-04-02
조회
1666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덕후출신 정치활동가, 김소희
나는 정치에 관심이 많다. 한 사회의 토대를 만드는 주요한 수단이기 때문이다. 그래서 대학을 졸업하던 2012년에 마음 맞는 친구들과 '청년당'을 창당했다. 연일 청
0
0
이재은
2020-04-02
조회
1386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활동의 순도에서 그림이라는 언어의 순도로, 직면하며 밀어나가는 사람. 우영
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노래 한 곡이 떠올랐다. 전날 우영과 나눈 이야기를 갈무리하는 동안 마음속에 어떤 풍경이 드리웠는데 그 모습을 구체적으로 그려보지 못하고 잠든 터였다.
0
0
장상미
2020-04-02
조회
1855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농사지으면서 살아가는 마을을 꿈꾸는 최문철
사회적 경제라는 말은 많이 들어봤지만 사회적 농업이라는 말은 아직은 낯설다. 사회적 농업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에게 건강과 돌봄, 치유, 환경보전 등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기
0
0
조아신
2020-04-01
조회
1428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시도를 넘나드는 시도의 이야기 - 시도
지난 한해 여러 사람들에게 활동이란 무엇인지, 활동가는 누구인지와 연결된 질문으로 인터뷰를 요청했다. 다들 어려운 질문이라고 했다. 그 어려운 질문에 나도 답을 해야 공평할 것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352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민주주의 활동가 이민철 - 권력을 함께 만들 때 진정한 협치가 가능하다
몇 년 전, 페이스북에서 고등학교 동창 한 명이 내가 하는 활동을 보고 댓글을 달았다. 너하고 잘 맞을 것 같은 활동가가 광주에 있으니 나중에 한 번 만나보라고. 그 사람과
0
0
조아신
2020-04-01
조회
2103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일상과 운동을 잇는, 삶으로 살아내는 조금 덜 무해한 선택 - 종합재미상사 안정화
플라스틱을 덜 사용하기 위한 텀블러 사용과 장바구니 이용은 활동일까 아닐까? 개인의 관심과 욕구에서 출발하지만, 실천의 과정과 의미를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움직임은 활동일까,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284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나의 우주에서 시작하는 뜨거운 균열 - 믿는페미
최근 몇 년간 한국사회에서 가장 핫한 주제는 페미니즘이다. 작년에 참여했던 페미니즘 활동가 교육에 사람들이 몰리는 것을 보며 자기 문제에서 출발해 직업적 사회활동가로 확장되는 사람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387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칼퇴요정, 두유요거트, 떡볶이집 알바 - 김진리
최근 몇 년 사이 전국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이 많이 생겼다. 활동현장을 지원하는 행정조직인데 마을공동체, 사회적경제, 창업, 청년, 50+, 사회주택, 사회혁신, 성평등, 직장맘에 이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595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그 땐 말할 수 없었던 것들 - 조승연
퇴사가 사회적 현상이 될 만큼, 퇴사가 트렌드인가 싶을 정도로 퇴사가 잦다. 대기업 입사자 3명 중 한 명이 1년 만에 사직서를 낸다. 새해 소망 중에 퇴사가 순위에 오르기도 한다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318
공지
[2019활동가인터뷰]
동료가 있고 꿈이 있어 멈출 수 없어요 - 청년정책활동가 조은주
2015년 여름, 시흥시 청년들을 위한 ‘청년기본조례’를 만들기 위한 시작에는 ‘시흥청년아티스트’가 있었다. 지역민의 공감과 지지를 바탕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687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활동가가 건강할 수 있는 '판'에 대한 고민부터 - 젠더정치연구소 조혜민
지난 선거 때 더불어민주당에서 낸 지자체장 후보는 전원 남성이었다. 후보자 지도가 돌며 이슈가 되었었는데 페미니즘을 말하지 않아도 이해하기 힘든 현상이었다. 활발한 여성운동과 사회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325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활동가냐 아니냐가 중요하지 않아요 - 녹번종합사회복지관 조은희
사회복지가 남을 돕는 좋은 일이라고만 이해하던 때가 있었다. 사회복지를 공부하면서 만난 지역사회복지론에는 활동의 언어가 가득 들어있었다. 지역사회 변화가 개개인의 삶의 변화로, 개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450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감수성과 세대, 지속하기 위해 함께 공부하기 - 중랑마을지원센터 조영주
마을 활동을 잘 한다고 하면 어떤 장면들이 떠오른다. 세대를 넘어 무던하게 관계맺고 사람들과 가까워야 할 것 같은 부담감도 느껴진다. 적당한 거리감을 갖는 것이 어렵게 느껴지고 다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540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중요한 건 자신이 '활동가'라는 선언 - 1인 시민활동가 구태희
'1인 활동가들의 시대'라고 할만큼 각자의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자기 활동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. 조직에서 해야하는 일 대신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다는 욕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507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사회적기업을 배우고, 직접 창업하고, 그게 다 활동가 정신이죠.- 안명선
안명선 님은 경남 창원에서 활동하는 사회적기업가입니다. 2003년 비영리단체 '해맑음 문화활동센터'를 설립해 활동을 이어오다가 2013년부터는 문화예술활동으로 사회
0
0
장상미
2020-04-01
조회
1606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재미있게 일해 보려구요 - 모두의경제 사회적협동조합 손영준 활동가
손영준 님은 2018년 사회적기업, 협동조합 통합지원기관인 모두의경제 사회적협동조합에서 창업지원단 팀장으로 활동 중입니다. 현재 창원지역으로 오신지 10개월차. 그러나 본인이 직접
0
0
박운정
2020-04-01
조회
1720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지역의 새로운 공유가치를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? - 공유가치창출디자인연구소 김윤정
주식회사 나비 공유가치창출 디자인 연구소장으로 CSV (Creating Shared Value;공유가치창출)를 바탕으로 커뮤니티기반 발달장애아동청소년 성장지원활동을 하고 있으며,
1
0
박운정
2020-04-01
조회
1228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시민사회와 청년이 만나려면? - 약사명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서진렬
문화기획, 마을 공동체 사업을 통해 비영리적 가치를 추구하는 영역에 진입한 청년 개인이 사회적경제, 도시재생 등에서 일하며 시민사회단체에 관심을 가지기까지의 여정과 고민을 들어보았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493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아픔이 길이 되는 과정 - 민달팽이유니온 최지희
청년들의 삶 전반을 고민하며 정책을 제안하고 담론을 만들어왔던 청년단체들을 꼽으라면 ‘청년주거’의제를 구체화시키고 지금의 청년주거정책들의 주춧돌을 만들어왔던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614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좋은 사람들이 있으니까 좋은 일이 생겨났어요 - 송현섭
춘천 아이쿱생협에서 일하는 송현섭은 반농반X의 삶을 지향하며 5년 전 춘천으로 귀촌했다. 자기의 삶을 새롭게 개척하면서 사회를 변화시키는 일도 병행하는 셈이다. 최근 조직이 아닌
0
0
장상미
2020-04-01
조회
1407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활동의 경계에서 활동을 말한다 - 김태형
활동가는 과연 누구인가? 천안 워크숍을 마치고 진행팀 회고 과정에서 가장 강하게 남은 질문이다. 회원, 운영위원, 사무국 상근활동가 등으로 구성된 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활동을 &l
0
0
시도
2020-04-01
조회
1518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지역 내 공익활동지원 플랫폼의 필요성 - 이진홍
활동하면서 힘든 이야기도 웃으면서 하는 사람, 익산희망연대 이진홍 국장과 인터뷰를 하고 떠올린 인상평이다. 본인 스스로도 20년 가까이 활동하면서 본인이 하는 일 때문에 힘든 적
0
0
조아신
2020-04-01
조회
1716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내면의 힘으로 움직이는 활동 - 강희숙
하루는 가장자리에서 자기 내면의 힘으로 움직이는 활동가다. 혼자 두 아이를 키우면서 겪은 고난이 세월호 사건 앞에서 사회적 고통으로 터졌다. 어릴때부터 보아온 이웃 노인들의 곤란한
1
0
시도
2020-04-01
조회
1125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더 많은 사람들이 '활동'을 만날 수 있었으면 - 권은유
권은유는 자기 삶의 방향을 찾고 싶은 마음에 두리번대다 자발적으로 사회 활동과 접속했다. 천안 시민 페이스북 운영팀 활동에서는 불특정 다수가 모이는 비정형적 집단에서 내부의 부정의
0
0
장상미
2020-04-01
조회
1157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공익활동을 향한 또다른 걸음 - 권순표
두 사람 다 활동가는 고도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지닌 특수한 직업군이라고 생각한다. 이승현은 사회문제를 창의적 아이디어로 풀고 싶다는 개인적 관심에서 상근자가 아닌 회원으로 조직에
0
0
장상미
2020-04-01
조회
1355
공지
[2018활동가인터뷰]
20년차 지역활동가의 고민 - 이상민
서울과 같은 거대 도시가 아닌 소규모 도시나 시골에서 ‘문제를 드러내는 사람’은 불편한 시선이 주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.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던 것들을
0
0
조아신
2020-04-01
조회
1375
Previous
1
2
3
4
Next
뉴스레터구독
변화를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.
이메일 주소
이름
구독하기